손죽도 삼신여 / 장커리 엿등 / 소거문도 높은자리
2005-04-19 10:14:59
member photo 관리자
0 2,510
들·날물 상관없는 꾸준한 조황 -손죽도 삼신여

손죽도 남동쪽에 있는 부속여로 간조에는 본섬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들·날물에 구애받지 않고 낚시를 할 수 있다. 물때 영향을 크게 받는 편은 아니지만, 사리 이후의 물때에 진입하는 것이 다소 유리하다.
낚시자리와 본섬 사이에 훈수지대가 형성될 때, 입질 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때는 감성돔이 무리지어 갯바위로 접근하기 때문에 밑밥 운용을 잘하면 마릿수 조과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채비와 밑밥을 오른쪽 본섬 직벽에 투입한 후, 지류대에 태워 낚시자리 정면에 있는 훈수지대로 흘려야 한다. 채비가 거의 발밑에 왔을 때 입질이 온다. 조류를 타고 흐르던 채비가 훈수지대의 경계지점에 다다르면, 뒷줄을 견제해야 빠른 입질을 유도할 수 있다. 만약 전유동 채비를 사용할 경우에는 밑채비가 입질지점을 쉽게 벗어나지 않도록 목줄에 봉돌을 물리는 것이 유리하다. 포인트 주변 수심은 9~11m 정도다.
이곳은 낚시자리가 높고 발밑에 여뿌리가 뻗어 있기 때문에 뒤처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만약 뜰채질이 필요한 대물을 걸었을 때는 고기를 뒤쪽의 배대는 자리로 유인한 다음 갈무리하는 것이 안전하다.
낚시여건 까다로와도 입질은 확실-장커리 엿등

장커리 북쪽에 있는 비교적 수심이 얕은 지역이다. 평균수심이 5~6m 정도로 얕은데다가 포인트 앞쪽에 간출여와 수중여가 많아 배 접안시 주의를 요한다. 낚시여건도 까다로운 편이어서 초보자들 보다는 경험이 많은 꾼들에게 권할만한 포인트다. 한조금을 제외하면 조류 속도가 알맞은 10 ~ 14물 사이에 진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들물에도 입질을 받을 수 있지만, 날물에 비하면 조과가 떨어지는 편이다.
입질지역이 넓은 편인데, 특히 낚시자리에서 왼쪽으로 약 15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간출여와 수중여 사이의 물곬에서 입질이 잦다. 바닥지형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밑걸림이 잦은 편이다. 그렇다고 찌밑수심을 얕게 하면 입질을 기대하기 어렵다. 뒷줄견제를 통해 밑걸림을 피하면서 철저하게 여와 여 사이를 공략해야 한다.
채비를 간출여 부근에 투입한 다음, 날물조류에 태워 흘리면 낚시자리 가까운 곳에서도 입질을 받을 수 있다. 이때는 밑밥을 채비투척지점보다 가까운 곳에 투입해야 미끼와 동조시키기 쉽다.
미끼·밑밥 동조가 조과로 직결-소거문도 높은자리

갯바위가 밋밋해,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별다른 매력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손죽열도의 여러 포인트 가운데 꾼들에게 제법 알려진 곳 중 하나다. 들·날물에 상관없이 조류가 한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비교적 공략하기 쉽고, 낚시시간이 길다는 것이 큰 매력이다. 사리에는 낚시하기에 조류가 다소 빠른 편이고, 10 ~ 12물에 가장 좋은 조황을 보인다.
조류는 들·날물에 상관없이 낚시자리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른다. 갯바위 쪽으로 밀려오던 조류가 벽면에 부딪혀 반탄류를 형성하는데, 이 반탄류와 조류가 이루는 경계선을 따라 채비를 흘려야 한다.
채비를 왼쪽으로 다소 멀리 던지고, 밑밥을 채비투척지점보다 가까운 곳에 투입하면 조류를 따라 흐르다가, 반탄류와의 경계선에서 동조가 이루어진다. 채비가 낚시자리 오른쪽에 있는 수중턱이나 수중여 부근으로 접근했을 때 입질이 온다.
이곳은 평균 수심이 13~14m 정도로 깊기 때문에 1호 이상의 고부력찌와 부피 큰 수중찌를 사용하는 게 효과적이다. 전유동 채비를 사용할 경우 속조류를 잘 탈 수 있도록 쿠션수중찌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 주로 10~12m 수심대에서 입질이 온다.
0Comments
-표시할 내용이 없습니다.-
코멘트를 삭제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nrcode refresh
총 게시물 902개 / 검색된 게시물: 902개
글번호 제목 조회수
582 세존도 작도끝바리
관리자 05.04.19
1685
581 청산도 노적섬 동쪽 일대
관리자 05.04.19
1755
580 청산도 목섬 얼음골
관리자 05.04.19
2063
579 여서도 노루목
관리자 05.04.19
2081
578 여서도 홋개
관리자 05.04.19
2014
577 고군산군도 관리도 구멍바위
관리자 05.04.19
1580
576 고군산군도 관리도 만물상밑
관리자 05.04.19
1798
575 고군산군도 관리도 2코지
관리자 05.04.19
1854
574 고군산군도 관리도 긴추
관리자 05.04.19
1811
573 용두암 일대
관리자 05.04.19
1801
572 동해시 용정방파제·갯바위
관리자 05.04.19 1
2178
571 진리초소앞 갯바위·봉길리 ‘떨어진여’
관리자 05.04.19
2251
570 신리갯바위
관리자 05.04.19
1735
569 낫개,작은솔섬·큰솔섬 해경방파제
관리자 05.04.19
2302
568 연화도
관리자 05.04.19
2461
567 두미도 (식겁자리·미끄럼틀·의자여)
관리자 05.04.19
2673
566 낭끝 여밭·녹산등대 밑
관리자 05.04.19
1711
565 손죽도 삼신여 / 장커리 엿등 / 소거문도 높은자리
관리자 05.04.19
2510
564
관리자 05.04.19
1317
563 소거문도 높은자리
관리자 05.04.06
1945
쪽지를 전송하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쪽지보내기
받는이(ID/닉네임)
내용
쪽지가 도착하였습니다.
쪽지 내용을 읽어오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