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벵에돔낚시]목줄찌 사용법
벵에돔 활성도 높을 때 최고 위력 발휘
2004-06-05 00:00:00
member photo 관리자
1 2,930
여름이 되면 난류성 어종인 벵에돔의 활성도가 높아진다. 활성도가 좋을 때는 밑밥을 뿌리면 수면까지 떠올라 먹이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는 수면 가까이에서 중층까지를 어떤 채비로 공략하느냐에 따라 조과가 현저하게 차이나게 된다.
벵에돔의 활성도가 높을 때는 목줄찌가 위력을 발휘한다. 과거에는 벵에돔이 수면 가까이 상승하였을 때는 찌밑수심을 줄이는 방법으로 목줄 길이를 짧게 해 낚시했다. 하지만 목줄찌를 사용하면 더욱 자연스러운 미끼의 움
직임을 연출하여 벵에돔의 빠른 입질을 유도해낼 수 있다.
낚시인들 중에는 목줄찌만 사용하면 모든 고기를 다 낚을 수 있는 것처럼 생각하는 꾼들도 많다. 하지만 이는 크게 잘못된 생각이다. 수심이 깊고 조류가 빠른 포인트에서는 목줄찌가 오히려 역효과를 유발하기도 한다. 완만한 조류가 흐르고, 밑밥으로 의해 벵에돔을 중층으로 띄울 수 있을 때 효과적인 채비가 되는 것이다.
언제 목줄찌가 효과적인가

목줄찌 사용의 적기는 벵에돔이 눈에 보일 때, 즉 낚시 도중 밑밥을 뿌리고 가만히 물속을 쳐다봐서 희끗희끗 벵에돔이 보일 때다. 이런 경우 목줄찌를 사용하면 좋은 조과를 올릴 수 있다.
또한 낚시 도중 찌는 가만히 있는데 원줄이 쭉 빨려드는 경우도 있다. 이때도 벵에돔이 수면 가까이까지 상승해 입질을 하는 것이므로 목줄찌가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벵에돔이 중층에서 유영은 하지만 입질이 약을 때도 있다. 이런 경우도 목줄찌를 사용해 볼만하다.
목줄찌는 초보꾼들일수록 더욱 도움이 된다. 벵에돔 낚시의 경험이 풍부한 꾼들은 미세한 찌의 움직임을 보고도 정확하게 입질을 파악해낸다. 하지만 초보꾼들은 입질이 약으면 난감해한다. 이럴 때 목줄찌를 사용하면 미세한 입질까지도 파악하기 쉽고, 특별한 견제동작도 필요없으므로 초보꾼들이 벵에돔 조과를 올리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찌보다 목줄찌가 선행하도록 흘려라

채비를 흘릴 때는 목줄찌가 찌보다 항상 앞서서 흘러가야 빠른 입질을 받을 수 있고 정확한 챔질이 된다. 입질을 받을 때 가장 이상적인 경우는 목줄찌가 빨려들고 이어서 구멍찌가 빨려드는 것이다. 이런 경우 챔질을 하면 거의 대부분 정확하게 걸려든다. 조금 큰 바늘을 사용했을 때는 목줄찌가 빨려드는 것만 보고 챔질을 해도 정확하게 걸려든다.
벵에돔을 마릿수로 노릴 때는 감성돔바늘을 주로 사용한다. 그 이유는 벵에돔 전용바늘은 벵에돔의 입안에 한번 박혀버리면 잘 빠지지 않지만, 감성돔 바늘은 바늘을 빼기가 쉽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점은 있다. 힘겨루기를 하다가 벗겨지는 경우가 간혹 있는 것이다. 챔질 타이밍에 자신이 없는 꾼들은 벵에돔 6~8호 바늘을 사용하는 게 안전하다.
079824001077860317.gif 대물 노리려면 튼튼한 장비&채비가 필수

요즘은 벵에돔 전용장비로 무장한 꾼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바람직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벵에돔은 습성이 난폭하기 때문에 이에 맞는 장비와 채비가 매우 중요하다. 일부 꾼들 중에는 ‘5짜’감성돔을 1호 릴 낚싯대와 1.5호 목줄로 많이 낚아봤다며, 대형벵에돔도 얼마든지 낚을 수 있다고 큰소리를 치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 대형벵에돔이 많이 낚이는 포인트로 가이드를 해주면 목줄을 몇차례 터트리고 낚싯대를 두동강 내는 등 고전을 겪은 후 튼튼한 장비와 채비의 필요성에 대해 이해를 하게 된다.
벵에돔은 바늘에 걸린 후 수중여 사이나 굴을 향해 돌진 한다. 이 과정에서 제압을 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50㎝급 이상의 대물 벵에돔은 1호대의 강도로는 도저히 견딜 수 없는 힘을 가지고 있다. 끝까지 버티다가는 대가 부러지고 마는 것이다.
대형급들의 파워를 감당하려면 1.5호 이상의 릴 낚싯대와 목줄 2.5~3호는 돼야 승부를 해볼만하다. 실제 대형급들이 많은 제주도에서는 목줄을 4호 이상으로 사용하는 꾼들도 많다.
수중여에 박혀도 당황하지 말라

벵에돔이 수중여에 박히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깊은 수심에서는 거센 저항을 해도 어느 정도 대응이 가능하지만, 수심이 얕은 갯바위 부근에서는 벵에돔을 다루는 도중 수중여에 처박혀 고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당황하지 말고 대끝이 느슨해질 정도로 원줄을 풀어준 후 초릿대를 주시해보길 바란다. 거의 90% 이상은 다시 벵에돔이 나오게 되고 초릿대가 쭉 빨려드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러면 이때 다시 릴링을 하면 된다. 수중여 사이에 박혔을 때 억지로 끌어내려고 하면 벵에돔은 본능적으로 더욱 파고들게 되고, 십중팔구 목줄이 터지고 만다.
1Comments
member photo
소야 2021.02.15(월) 오전 02:27:29
잘 보고 갑니다.
코멘트를 삭제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nrcode refresh
총 게시물 142개 / 검색된 게시물: 142개
글번호 제목 조회수
42 [볼락낚시]릴찌낚시로 대물볼락 노리기
관리자 04.02.27 1
2716
41 [감성돔낚시]여름감성돔낚시 제로찌 활용법
관리자 04.06.05 1
2725
40 [볼락낚시]갯바위 볼락낚시 채비만들기
관리자 04.02.27 1
7523
39 [감성돔낚시]초여름감성돔 공략 수심
관리자 04.06.05 1
2407
38 [감성돔낚시]봄감성돔 입질 포인트
관리자 04.03.25 1
3030
37 [벵에돔낚시]일본의 벵에돔낚시
관리자 04.02.27 1
4255
36 [감성돔낚시]봄감성낚시 키포인트
관리자 04.03.25 1
2476
35 [벵에돔낚시]목줄찌 사용법
관리자 04.06.05 1
2930
34 [감성돔낚시]봄감성돔낚시의 특징
관리자 04.03.25 1
2658
33 [벵에돔낚시]벵에돔낚시 잡어 퇴치법
관리자 04.02.27 1
3306
32 [벵에돔낚시]바닥층 벵에돔 공략법
관리자 04.09.01 1
2959
31 [벵에돔낚시]내만권 벵에돔낚시 마릿수 노하우
관리자 04.02.27 1
3246
30 [벵에돔낚시]남해동부 벵에돔은 언제 뜨나?
관리자 04.02.27 1
4342
29 [벵에돔낚시]남해동부 벵에돔낚시 테크닉
관리자 04.02.27 1
3777
28 [벵에돔낚시]겨울 벵에돔낚시
관리자 04.02.27 1
2875
27 [벵에돔낚시]겨울벵에돔낚시 모든것
관리자 04.02.27 1
4005
26 [볼락낚시]그림으로 배우는 갯바위볼락낚시 기본장비
관리자 04.02.27 1
2812
25 [볼락낚시]방파제 볼락낚시
관리자 04.02.27 1
3867
24 [참돔낚시]추자군도 참돔낚시
관리자 04.02.27 1
3133
23 [볼락낚시]볼락낚시 포인트론
관리자 04.06.05 1
3574
쪽지를 전송하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쪽지보내기
받는이(ID/닉네임)
내용
쪽지가 도착하였습니다.
쪽지 내용을 읽어오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