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벵에돔시즌이 시작되는 6월 초순경에는 불청객 ‘냉수대’가 찾아온다. 냉수대가 형성돼 있는 동안은 잡어새끼 한마리 안 낚일 정도로 몰황을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경북 영덕군 노물리에 있는 벼락바위는 험한 갯바위를 통과해 진입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씨알과 마릿수에서 타 포인트를 압도하는 곳이다. 조석간만의 차가 수㎝에 불과하지만 조류의 흐름은 비교적 좋은 편이다. 특히 이곳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냉수대가 형성되었을 때도 비교적 안정된 조과를 보이기 때문이다. ① 갯바위가 평평한 모양을 하고 있어 편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다. 공략지점은 갯바위에서 20m 이상 떨어져 있다. 물밑은 온통 돌밭이다. 군데 군데 툭 불거진 수중여가 있어 입질지점을 쉽게 찾을 수 있다. 감성돔도 가끔 올라 오지만 주대상어는 벵에돔이다. 벵에돔낚시 시즌 초반기인 요즘, 20㎝ 전후한 씨알이 주류를 이루지만 7월에 접어들면 30㎝가 넘는 놈들도 낚인다. 입질 지점은 수심이 2.5~3m인 수중여 주변이다. 3B~0.5호 구멍찌를 사용한 채비가 상당한 효과를 발휘한다. 파도와 조류의 움직임을 보고 수중찌와 봉돌을 선택하면 좋은 조과를 얻을 수 있다. 대물급을 낚으려면 갯바위에서 40m 이상 떨어진 곳에 있는 커다란 수중여 주변을 노려야 한다. 이곳 수심은 6m 선. ② 들물과 날물에 관계없이 낚시자리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조류가 흐른다. 낚시자리에서 15m 정도 떨어진 수중여 주변이 입질 지점. 수심은 3m 선. 특히 이곳에서 낚시를 할 때는 원줄조작이 매우 중요하다. 중간에 날카로운 수중여가 많이 솟아 있어 원줄조작이 능숙하지 못한 초보꾼들은 적응하기 어렵다. 이곳에서는 밑밥 품질을 어떻게 하느냐가 조과를 좌우할 만큼 중요하다. 낚시에 들어가기 전 충분한 양을 발밑에 뿌린 다음 채비를 하고, 다시 중간 지점에 품질을 한다. 낚시를 하면서 차츰 먼 곳으로 품질 지점을 바꿔간다. |
글번호 | 제목 | 조회수 | |
---|---|---|---|
462 |
십이동파도 똥여
관리자
05.03.31
|
1923 | |
461 |
십이동파도 위쌍여
관리자
05.03.31
|
1785 | |
460 |
십이동파도 쌍섬 꼬리바위
관리자
05.03.30
|
1718 | |
459 |
십이동파도 갈매기여
관리자
05.03.30
|
1729 | |
458 |
십이동파도 땅콩여
관리자
05.03.30
|
1974 | |
457 |
십이동파도 북섬 북서쪽 곶부리
관리자
05.03.30
|
1607 | |
456 |
십이동파도 병풍도 남쪽 곶부리
관리자
05.03.30
|
1085 | |
455 |
십이동파도 가면바위
관리자
05.03.30
|
1865 | |
454 |
십이동파도 덜컥여
관리자
05.03.30
|
1862 | |
453 |
십이동파도 남여
관리자
05.03.30
|
1568 | |
452 |
다대포 남형제섬 볼락돌
관리자
05.03.29
|
1794 | |
451 |
다대포 남형제섬 떨어진 여
관리자
05.03.29
|
1948 | |
450 |
다대포 낫개 2번여
관리자
05.03.29
|
1778 | |
449 |
다대포 낫개1번여
관리자
05.03.29
|
2403 | |
448 |
석동 동영수산 앞 갯바위
관리자
05.03.29
|
1894 | |
447 |
노물리 벼락바위
관리자
05.03.29
|
1523 | |
446 |
사계리 갯바위
관리자
05.03.29
|
1551 | |
445 |
수산방파제
관리자
05.03.29
|
1579 | |
444 |
청호동방파제
관리자
05.03.29
|
1535 | |
443 |
거진방파제
관리자
05.03.29
|
1446 |
대표: 오계원, 상호명: (주)파스미디어
사업자등록번호: 605-81-93977
주소: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981, 시청센트빌 10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