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싯대의 각도가 가장 중요하다 낚싯대는 매우 뛰어난 탄력을 가지고 있다. 이 탄력은 당기면 당길수록 다시 펴지려는 힘으로 나타난다. 또한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힘을 부드럽게 흡수해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도 한다. 대물을 걸었을 때 낚싯대를 세워야 하는 이유는 낚싯대가 가지고 있는 탄력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다. 그래야지만 원줄이나 목줄에 가해지는 힘을 줄일 수 있다. 가는 줄로 큰 고기를 낚을 수 있는 비밀은 바로 낚싯대에 숨어 있다. 물리적으로 볼 때 낚싯대의 탄력을 최대한으로 살리기 위해서는 힘이 전해지는 방향과 90~120°각도를 이뤄야 한다. 이보다 각이 작으면 낚싯대의 탄력을 다 살릴 수 없고, 이보다 크면 탄력의 한계를 넘어 오히려 완충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탄력을 최대한으로 살릴 수 있는 범위가 30°씩이나 되는 이유는 낚싯대가 단순한 원통 구조가 아니라 끝부분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이다. 힘이 가해지는 정도에 따라 그힘을 가장 크게 받는 지점이 변하기 때문에 탄력의 최고점이 유동적인 것이다. 낚싯대를 세우면 된다고 하면 누구나 그럴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일단 입질을 받으면 문제는 달라진다. 베테랑 꾼이라면 초반에 낚싯대 허리를 뺐겼다 해도 레버나 드랙을 적절히 이용해 어렵잖게 낚싯대를 세울 수 있다. 하지만 입문자는 챔질과 동시에 낚싯대를 세웠다 하더라도, 물고기가 조금만 힘을 쓰면 금방 낚싯대 허리를 뺐기고 만다. 아무리 세워야 한다고 생각해도 생각처럼 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대물을 걸었을 때는 낚싯줄이 터지는 한이 있더라도 낚싯대는 숙이지 않겠다는 생각으로 버텨야 한다. 낚싯줄은 낚싯대를 세웠을 때보다 숙였을 때 터지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다. 감성돔이나 벵에돔이 아무리 커도 사람 힘을 이길 수는 없다. 버티다 보면 어떤 대물이라도 다 힘이 빠지기 마련이다. 이렇게 힘을 뺀 다음 끌어내면 그리 어렵지 않게 대물을 손에 넣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더해 대를 세우고 있을 때 전해지는 짜릿한 충격이야말로 손맛의 진수라 할 수 있다. |
대물을 걸었을 때는 무조건 낚싯대를 세워야 한다. 낚싯대가 가지고 있는 탄력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다. 그래야지만 원줄이나 목줄에 가해지는 힘을 줄일 수 있다. |
낚싯대 잘 다뤄야 고기머리 돌릴 수 있다. 베테랑꾼들은 물고기의 머리를 돌려놓아야 비로소 내 고기라는 생각이 든다는 말을 많이 한다. 고기의 머리를 돌려놓는다는 말은 고기가 달아나고자 하는 방향이 아니라 낚싯꾼 쪽으로 보도록 만든다는 뜻이다. 이렇게 하면 고기가 큰 힘을 쓸 수 없기 때문에 저항 정도가 훨씬 약해지고, 또 쉽게 끌려온다. 물고기 머리를 돌리기 위해서는 낚싯대를 잘 다뤄야 한다. 적절한 방향으로 눕히거나 당겨서 물고기의 전진을 방해해야 하는 것이다. 이제부터는 물고기가 달아나는 방향에 따라 낚싯대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물고기가 오른쪽으로 달아난다고 가정하자. 만약 오른쪽으로 달아나는 물고기를 끌어내기 위해 왼쪽으로 낚싯대를 눕힌다면, 서로의 힘이 가해지는 방향이 정반대가 되므로 낚싯대나 낚싯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렇게 하면, 손맛은 더 좋을 지 모르지만 의외로 허무하게 줄이 끊어지는 원인이 된다. 하지만 낚싯대를 달아나는 방향으로 눕히면서 당겨주면, 서로의 힘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채 전달되므로 훨씬 부담없이 고기를 상대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하면 달아나던 물고기가 갯바위쪽으로 머리를 돌리게 하기도 쉽다. 다만 물고기가 난바다쪽을 정면으로 보고 달아나거나, 옆으로 너무 먼 거리에서 물었을 때, 그리고 뒤쪽이 깎아지른 절벽인 경우에는 이런 방법을 사용할 수 없다. 이럴 때는 낚싯대를 세운 상태에서 고기가 힘을 쓰는 데 따라 원줄을 적절히 풀어주면서 힘을 뺀 다음, 여유를 갖고 끌어내는 게 좋다. 릴링의 원칙 감성돔낚시나 벵에돔낚시를 할 때, 릴은 단순히 원줄을 감아주는 역할만 한다고 생각하는 게 가장 속 편하다. 절대 릴을 감아서 고기를 끌어온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이것은 릴을 사용하는 다른 종류의 낚시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원칙이다. 고기를 당겨서 낚시꾼과의 거리를 좁히는 것은 어디까지나 낚싯대를 이용해야 한다. 낚싯대를 당겨 거리를 좁힌 다음, 그 폭만큼 생긴 여유를 릴로 감아들이는 것이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릴을 감아들이는 속도보다 낚싯대를 숙이는 속도가 빨라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자칫하면 바늘이 벗겨질 위험도 있고, 심하면 여유줄이 초릿대 끝에 감기는 불상사도 생길 수 있다. 릴을 감을 때는 언제나 낚싯대에 하중이 걸린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감는 속도는 빠를수록 좋다. |
[정면 멀리에서 입질이 왔을 때]-고기가 달아나는 방향으로 낚싯대를 눕혀서 당겨낸다(①) . 이렇게 하면 의외로 쉽게 대물의 머리를 돌릴 수 있다. 고기가 머리를 돌리면 낚싯대도 그에 따라 방향을 바꿔줘야 한다(②). 이런 식으로 고기 방향에 따라 낚싯대 방향을 달리하면서 버티고 당기면(③, ④) 대물을 손쉽게 발앞까지 끌어올 수 있다. [수중여 부근에서 입질이 왔을 때]-수중여쪽으로 달아나지 않도록 최대한 버틴다(①). 이때 너무 강하게 당기면 낚싯줄이 끊어질 위험이 있지만 완전히 한계에 다다랐다는 느낌이 들 때까지는 줄을 풀어주지 않는게 좋다. 고기가 머리를 돌리면 그에 맞춰 낚싯대 방향도 돌려서 당겨야 한다(②). 일단 수중여 주변에서 대물을 격리시킨 다음에는 고기 방향에 맞게 낚싯대 방향을 바꿔가며 버티고 당기면 된다(③, ④) [멀리 있는 갯바위 주변에서 입질이 왔을 때]-옆쪽에서 입질을 받았을 경우 일단 낚싯대를 최대한 바다쪽으로 뻗어서 당겨내 대물이 갯바위 주변에서 떨어지게 해야 한다(①). 일단 머리를 바다쪽으로 돌렸으면 그방향으로 계속 당겨낸다(②). 만약 대물이 머리를 다시 돌려 먼바다쪽으로 달아나면 낚싯대를 반대 방향으로 틀어 다시 머리를 돌려놓아야 한다(③). 일단 머리를 돌려 놓은 다음에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버티고 당겨서 발 앞까지 끌어오면 된다(④). |
돌발상황은 몸으로 때워라 대물을 걸었을 때는 잘 끌려오던 고기가 갑자기 처박는다든지, 서로 팽팽하게 대치하던 중 갑자기 난폭하게 차고 나가는 경험을 종종 하게 된다. 대물을 걸어 파이팅을 벌이는 도중 채비가 터질 위험성이 가장 높은 때가 바로 이런 상황이다. 이럴 때 미처 레버를 풀어주지 못하거나, 풀어준다 하더라도 차고나가는 속도가 너무 빠르면 저도 모르게 낚싯대 허리를 숙이게 된다. 만약 낚싯대를 끝까지 세우고 버틴다 해도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무리한 힘으로 인해 줄이 끊어지거나 낚싯대가 부러질 확률이 높다. 이럴 때 필요한 기술이 몸으로 때우는 것이다. 사람은 서 있을 때와 앉아 있을 때 약 1m에 가까운 높이차가 난다. 또, 앉아서 손을 내리고 있을 때와 서서 만세를 부르고 있을 때의 손 높이는 2m도 넘는다. 이것을 잘 이용하면 돌발적인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먼저 갑작스런 힘을 느꼈을 때 무의식적으로 앉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비교해보자. 앉는 사람에게 적어도 1m 이상의 여유가 생긴다. 그정도 차이만으로도 돌발상황에서의 위험도는 현저하게 떨어진다. 한편 앉았다가 일어서면서 얻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힘을 쓰던 대물이 주춤해지는 틈을 타서 일어서면 그것만으로도 고기를 1m 이상 당겨오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여기에 더해 만세를 부르듯 손을 들어 낚싯대까지 당기면 그냥 선채로 낚싯대를 당길 때보다 한꺼번에 2m 이상 고기를 더 끌어당길 수 있다. 낚싯대를 뺐기면 줄을 대신 줘라 대물이 감당할 수 없는 힘으로 당긴다면 아무리 베테랑이라도 낚싯대 허리를 뺐기는 경우가 허다하다. 하지만 이 위기에서 베테랑들은 부드럽게 빠져나와 다음 동작으로 넘어가며 손맛을 보고, 입문자들은 채비를 터트려 먹고 돌아서 쓰린 가슴으로 담배를 피워문다. 베테랑들은 이 위기에서 어떻게 빠져나올까? 해답은 릴에 있다. 릴은 낚싯줄을 감아들이는 기능과 함께 풀어주는 기능도 있다. 레버 브레이크 릴이라면 역회전방지장치를 풀고 레버를 놓으면 낚싯줄이 풀려나간다. 요즘은 굳이 역회전방지장치를 풀지 않더라도 어느정도 힘이 가해지면 낚싯줄이 풀려나가는 릴도 많다. 드랙릴은 드랙 조절 정도에 따라 자동으로 줄이 풀려나간다. 줄이 풀려나가면 그만큼 여유가 생긴다. 이 여유를 적절히 이용하면 아무 어려움 없이 허리를 빼앗긴 낚싯대를 다시 세울 수 있다. 일단 낚싯대 허리를 뺐기면 무조건 낚싯줄을 풀어줘 힘을 분산시켜야 한다는 점을 명심하자. 그리고 그 힘의 여유를 이용해 재빨리 낚싯대를 세우면 된다. 낚싯대를 세운 다음 또다시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힘이 전해진다면 계속 줄을 풀어주면 된다. 하지만 무작정 풀어주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고기가 당기는 힘이 거세지는 시점에 맞춰 조금씩 풀어줘야 한다. 낚싯줄을 풀어주는 이유는 채비가 감당하기 어려운 힘을 분산시키기 위해서다. 낚싯대와 낚싯줄이 최대의 긴장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그 한도를 넘는 힘만큼만 줄을 풀어주면 된다. 그보다 많이 풀어주면 고기 힘을 빼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목줄이 여에 쓸릴 확률도 높아진다. 반대로 너무 풀어주지 않으면 아차 하는 사이에 낚싯줄이 터지거나 낚싯대가 박살나게 된다. |
대물이 갑작스럽게 힘을 써서 미처 거기에 대응할 수 없을 때는 그자리에 앉는 것도 힘을 분산시키는 좋은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적어도 1m 이상의 여유가 생기기 때문에 돌발상황에서의 위험도가 현저하게 떨어진다. |
글번호 | 제목 | 조회수 | |
---|---|---|---|
130 |
주요 낚시장비 관리법
관리자
07.03.28
1
|
2080 | |
129 |
힘겨루기 도중 채비 터트리지 않는 방법
관리자
07.02.22
2
|
3641 | |
128 |
몰밭에서 낚시할 때 주의사항
관리자
07.02.22
|
3138 | |
127 |
기본적인 원줄 조작법
관리자
07.02.22
1
|
2068 | |
126 |
입질 예상지점 찾는 방법
관리자
07.02.22
1
|
3362 | |
125 |
밑밥 첨가물 어떻게 사용하나?
관리자
07.01.23
1
|
3779 | |
124 |
겨울감성돔낚시 막대찌채비 입질 파악법
관리자
06.12.19
|
2386 | |
123 |
릴 기본상식 & 구매가이드
관리자
06.10.20
|
4626 | |
122 |
낚싯대 기본 상식 & 구매 가이드
관리자
06.10.20
1
|
2325 | |
121 |
가을감성돔낚시 반유동·전유동 채비 선택법
관리자
06.10.20
|
2093 | |
120 |
초가을 감성돔 유망 포인트 선택법
관리자
06.09.19
1
|
2131 | |
119 |
상황별 효과적인 수중찌 선택법
관리자
06.09.19
1
|
2705 | |
118 |
상황별 미끼 선택 및 꿰는법
관리자
06.06.23
1
|
2801 | |
117 |
잡어 종류별 극복 방법
관리자
06.06.23
1
|
2343 | |
116 |
원투낚시 올바른 캐스팅 방법
관리자
06.06.23
1
|
2550 | |
115 |
낚시장비 손질요령
관리자
06.06.23
1
|
2572 | |
114 |
갯바위에서 마주치는 선택의 순간들
관리자
06.06.23
|
2029 | |
113 |
여름 밤낚시 완벽 대비
관리자
06.05.17
|
2042 | |
112 |
편광안경의 모든 것
관리자
06.05.17
|
3524 | |
111 |
새우류 미끼 효과적인 사용법
관리자
06.04.18
1
|
2481 |
대표: 오계원, 상호명: (주)파스미디어
사업자등록번호: 605-81-93977
주소: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981, 시청센트빌 10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