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athers
날씨 해상날씨 물때 연안정보
디낚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시려면 로그인을 해주세요.
로그인
겨울벵에돔을 찾아서3 겨울 긴꼬리벵에돔낚시 A to Z
2015-02-24 15:18:31
member photo 디낚편집부
0 3,787

겨울벵에돔을 찾아서3

겨울 긴꼬리벵에돔낚시 A to Z

남해 먼 바다에 낚시터 집중, 제주도가 최고 명소… 튼튼한 장비에 가벼운 채비 조합해야


긴꼬리벵에돔은 따뜻한 바다에 사는 난류성 어종이다. 수온이 높고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난류대 세력이 강한 여름에 조황이 가장 좋다. 그런데 긴꼬리벵에돔 마니아들이 꼽는 최고 시즌은 여름이 아니라 겨울이다. 겨울에는 여름에 비해 낚시터가 좁고 마릿수가 떨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긴꼬리벵에돔낚시 인기가 높은 건 40㎝ 이상 되는 덩치급을 걸어낼 확률이 어느 때보다 높기 때문이다. 겨울에 덩치급 입질이 유난히 활발한 이유는 산란 활동과 관련이 깊다. 씨알 좋은 긴꼬리벵에돔이 산란기(늦겨울~초봄)를 앞두고 영양 보충을 하기 위해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 먼 바다 섬 주변으로 모여들기 때문에 자연스레 대물 출현 빈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굵은 씨알이 돋보이는 겨울 긴꼬리벵에돔낚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다.

신중대 기자

1.jpg



긴꼬리벵에돔 인기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불과 6~7년 전만 해도 제주도나 추자군도, 거문도 같은 남해 먼 바다 낚시터에서만 만날 수 있는 귀한 낚시 대상어로 인식됐다. 
하지만 요즘은 동해남부~남해동부권 근거리 낚시터에서도 별로 어렵지 볼 수 있는 친숙한 어종이 됐다. 해수온 상승으로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난류대 세력이 강해지면서 긴꼬리벵에돔 서식지역이 넓어지고 개체수가 늘어난 결과다.
늘씬하게 잘 빠진 근육질 몸매에서 뿜어져 나오는 뛰어난 힘과 스피드로 손맛을 완벽하게 충족시켜 준다는 게 인기비결이다. 공격성과 탐식성이 강해 활성도가 그리 높지 않은 상황에서도 낚싯대를 확 잡아당길 정도로 시원스럽게 입질한다는 점도 큰 매력이다.

겨울, 덩치급 솟구치는 씨알 피크기

긴꼬리벵에돔은 일 년에 두 차례 피크 시즌을 맞는다. 연중 난류 영향력이 가장 강한 시기인 장마철 전후는 마릿수 절정기다. 긴꼬리벵에돔 활성도가 높고 개체수가 풍부하기 때문에 어느 낚시터에서나 넉넉한 조과를 올릴 수 있다.
낚시터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보통 여름에는 20㎝가 안 되는 잔챙이급부터 50㎝가 넘는 대물까지 다양한 씨알이 섞여 올라온다.
씨알 피크기는 겨울이다. 여름과 비교하면 낚시터가 좁고 조황 기복이 심함에도 불구하고 겨울에도 긴꼬리벵에돔을 노리는 낚시인이 적지 않은데, 어느 때보다 40㎝가 넘는 굵직한 씨알을 걸어낼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긴꼬리벵에돔은 늦겨울~초봄에 산란을 한다. 겨울이 되면 긴꼬리벵에돔 성어들은 산란에 필요한 영양분을 축적하기 위해 먹잇감이 풍부한 섬 주변으로 모여든다. 섬 가까이 접근한 긴꼬리벵에돔은 산란 하기 직전까지 연안에 머물며 왕성하게 먹이 활동을 한다. 겨울에 유난히 대형급 입질이 활발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2-1.jpg

긴꼬리벵에돔은 따뜻한 바다에 사는 난류성 어종으로 수온이 높은 여름에 조황이 가장 좋다. 여름과 비교하면 낚시터가 좁고 조황 기복이 심함에도 불구하고 겨울에도 긴꼬리벵에돔낚시가 활발하게 이뤄진다. 어느 시기보다 40㎝ 이상 되는 덩치급을 걸어낼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2-2.jpg

지난 1월 말에 경남 홍도 해상으로 선상찌낚시 출조를 해 40㎝가 훌쩍 넘는 긴꼬리벵에돔을 걸어낸 낚시인들. 겨울 긴꼬리벵에돔낚시는 제주도, 추자군도, 여서도, 거문도, 홍도 등 난류가 직접 와 닿는 남해 먼 바다 섬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사진제공 : 거제도 가자피싱랜드)


겨울 긴꼬리벵에돔 명소, 남해 먼 바다에 집중

수온이 높은 여름~가을에는 육지와 가까운 낚시터에서도 어렵지 않게 긴꼬리벵에돔을 낚을 수 있다. 하지만 겨울에는 육지권 낚시터나 근거리 섬에서는 긴꼬리벵에돔을 거의 구경할 수 없다. 긴꼬리벵에돔은 벵에돔보다 더 따뜻한 바다에 사는 어종이라 수온이 낮은 겨울에는 육지 가까이 잘 접근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주도, 추자군도, 여서도, 거문도, 삼부도, 모기섬, 구을비도, 매물도, 국도, 안경섬, 경남 홍도(배낚시) 등 겨울 긴꼬리벵에돔 낚시터 모두 남해 먼 바다에 자리 잡고 있다. 연중 난류 영향을 받는 곳이라 겨울에도 수온이 급락하진 않기 때문에 긴꼬리벵에돔이 활동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한편 제주도를 제외한 나머지 남해 먼 바다 낚시터에선 철저하게 단골꾼 중심으로 긴꼬리벵에돔낚시가 이뤄지고 있다. 적지 않은 낚시인들이 여서도, 추자군도, 거문도, 홍도 등에서 겨울 긴꼬리벵에돔낚시를 즐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황 소식이 외부로 잘 알려지지 않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겨울 긴꼬리벵에돔낚시 파라다이스 제주도

제주도는 우리나라에서 긴꼬리벵에돔낚시가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는 낚시터다. 겨울에도 수온이 10℃를 크게 웃돌기 때문에 사철 긴꼬리벵에돔이 올라온다. 
그렇다고 일 년 내내 비슷한 조황을 기록하는 건 아니다. 시기에 따라 씨알과 마릿수가 차이난다. 마릿수는 장마철 전후에 가장 풍성하다. 씨알 피크기는 굵직한 긴꼬리벵에돔이 산란기를 앞두고 섬 가까이 접근해 왕성하게 먹이 활동을 하는 겨울이다. 
긴꼬리벵에돔 산란기는 늦겨울~초봄이다. 산란을 마친 개체는 깊은 바다로 이동해 몸을 추스르기 때문에 3월 말~4월 말에는 덩치급 입질 빈도가 바닥까지 떨어진다. 
제주도 긴꼬리벵에돔낚시는 시기에 상관없이 지귀도, 형제섬, 차귀도, 마라도, 가파도, 우도, 범섬 같은 부속섬들이 주도한다. 씨알과 마릿수 모두 본섬 조황을 압도한다.
올 겨울에는 지귀도 조황이 특히 좋다. 11월 말에 본격적인 대물시즌이 열린 이후 지금까지 두 달 보름 동안 씨알과 마릿수가 두루 만족스런 호황이 이어지고 있다. 40㎝가 넘는 굵직한 씨알이 꾸준하게 배출되면서 출조객도 눈에 띄게 늘었다. 
지귀도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은 해질녘에 덩치급이 집중적으로 출현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을 잘 알고 있는 단골꾼들은 오후 2~3시 경 포인트에 진입해 저녁물때를 보고 오후 7~8시 무렵 철수하는 패턴으로 출조를 한다.
지귀도는 평평한 갯바위와 마찬가지로 물밑 지형 역시 완만하게 깊어지기 때문에 주변 수심이 별로 깊지 않다. 이런 이유로 낮에는 대형급 긴꼬리벵에돔이 경계심을 느끼고 갯바위 가까이 잘 접근하지 않는다. 
마라도, 가파도, 형제섬 등 지귀도처럼 야트막한 갯바위가 넓게 펼쳐진 다른 부속섬에서도 낮엔 25~30㎝급이 올라오고, 해질녘 1~2시간 동안 35㎝가 넘는 굵직한 씨알이 집중적으로 출현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런 이유로 제주도 현지꾼들은 낮에 씨알에 비중을 두고 낚시를 할 땐 범섬, 우도, 차귀도 등 수심 깊은 직벽 포인트가 발달된 섬을 주로 찾는다. 이들 낚시터에는 수심이 10m 이상 되는 포인트가 많아 낮에도 채비와 밑밥 운영만 잘 하면 어렵지 않게 덩치급 긴꼬리벵에돔을 낚을 수 있다.
겨울 제주도에서 낮에 덩치급 긴꼬리벵에돔 손맛을 볼 수 있는 또 다른 방법 중 하나가 선상찌낚시를 하는 것이다. 현재 제주도에서는 서귀포앞바다를 중심으로 긴꼬리벵에돔과 부시리를 함께 노리는 선상찌낚시가 성행하고 있다.
긴꼬리벵에돔이 지나다니는 물곬을 직접 공략하기 때문에 갯바위나 방파제에서 낚시할 때보다 훨씬 풍성한 조과를 올릴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수심 15~20m에 조류가 원활하고 수중여와 수중골창 같은 수중지형이 잘 발달된 곳이 배낚시 포인트로 적당하다. 밑밥 동조 효과가 좋은 -B~-3B 잠수찌채비를 조류에 태워 흘리며 중층~바닥층을 더듬는 게 기본 공략법이다. 

3.jpg

지난 1월 중순에 제주 지귀도 해상 선상찌낚시에서 40㎝급 긴꼬리벵에돔을 마릿수로 걸어낸 낚시인들. 겨울에 제주도에서 선상찌낚시를 하면 40㎝ 이상 되는 씨알 좋은 긴꼬리벵에돔을 걸어낼 확률이 높다. 긴꼬리벵에돔이 오가는 물곬을 직접 노릴 수 있어 갯바위나 방파제 보다 훨씬 좋은 조과를 올릴 수 있다. (사진제공 제주도 서귀포 청송호)

4-1.jpg

겨울에 제주도 범섬 대정질에서 긴꼬리벵에돔을 걸어 손맛을 즐기는 낚시인. 겨울에 제주도에서는 대정질처럼 조류 소통이 좋고 물밑 지형이 잘 발달된 포인트에서 긴꼬리벵에돔낚시가 활발하게 이뤄진다


조류 소통 좋고 물밑 지형 복잡한 갯바위가 겨울 명당

긴꼬리벵에돔 포인트를 선택할 땐 조류 여건부터 살펴야 한다. 긴꼬리벵에돔은 조류를 타고 이동하는 습성이 강하다. 따라서 조류가 느린 곳으로는 잘 접근하지 않는다. 본류대가 낚시자리 가까이 흐르거나, 물곬을 낀 갯바위가 포인트로 적당하다.
물밑 지형도 확인해야 한다. 수중여와 수중골창 같은 수중지형이 잘 발달돼 있을수록 포인트 가치도 높아진다. 물밑 지형이 밋밋한 곳으로는 경계심을 느끼고 쉽게 들어오지 않는다. 접근하더라도 오래 머물지 않기 때문에 낚아내기 쉽지 않다.
조류와 물밑 여건이 두루 좋은 곳이라면 수심이 다소 얕더라도 얼마든지 긴꼬리벵에돔 포인트가 된다. 긴꼬리벵에돔은 야행성 어종이라 어두울 때는 경계심을 풀고 수심이 2~3m 정도 밖에 안 되는 곳으로도 접근한다.

스피드에 지구력까지 좋은 천하장사, 튼튼한 장비 필수

긴꼬리벵에돔은 본류대를 타고 이동하는 회유성 어종답게 힘이 강하고 스피드가 뛰어나다. 지구력까지 좋아 수면까지 끌려나온 후에도 저항을 멈추지 않는다.
때문에 긴꼬리벵에돔낚시를 할 땐 튼튼한 채비가 필수다. 1.5~1.7호 낚싯대는 돼야 안심하고 힘겨루기 할 수 있다. 릴은 3000~4000번 LB릴을 준비하면 된다. 원줄은 3~5호가 알맞고 목줄은 2~3호가 적당하다. 바늘은 긴꼬리벵에돔 전용 6~8호를 주로 쓴다. 긴꼬리벵에돔 전용 바늘은 일반 벵에돔바늘보다 굵고 허리가 길기 때문에 목줄이 날카로운 이빨에 쓸려 끊어지는 걸 막아준다.
확률 높은 공략법은 시간대에 따라 달라진다. 낮에 조류가 원활한 곳에서 긴꼬리벵에돔을 노릴 때는 밑밥 동조 효과가 좋은 저부력(000~3B)찌 전유동채비를 멀리 흘리며 중하층~바닥층을 탐색하는 패턴이 잘 통한다.
밑밥은 잘게 자른 크릴에 비중이 가벼운 벵에돔 전용 집어제를 넉넉하게 섞어 천천히 가라앉고 멀리까지 흘러가도록 만든 후 조류 상류 지점에 규칙적으로 뿌리면 된다.
해질 무렵이나 밤엔 굳이 먼 거리를 노릴 필요가 없다. 긴꼬리벵에돔이 경계심을 풀고 갯바위 가장자리까지 접근하기 때문에 낚시자리 주변만 꼼꼼히 공략해도 얼마든지 좋은 조과를 올릴 수 있다.
0호~B 구멍찌와 탐색형 수중찌를 조합한 전유동채비로 상층부터 바닥층까지 전 수심층을 꼼꼼히 탐색하면 게 기본 공략법이다. 밑밥은 비중이 가벼운 벵에돔 전용 집어제를 넉넉하게 섞어 확산성이 우수하도록 만들어 발밑에 규칙적으로 품질하면 된다.

4-2.jpg

4-3.jpg

제주 지귀도 동모에서 긴꼬리벵에돔을 건 낚시인이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늘씬하게 잘 빠진 근육질 몸매에 힘이 좋고 스피드가 뛰어난 긴꼬리벵에돔을 무리 없이 제압하기 위해선 튼튼한 장비가 필수다. 40㎝ 이상 되는 긴꼬리벵에돔을 노릴 땐 1.5~1.7호 낚싯대와 3000번 LB릴 그리고 3~5호 원줄과 2~3호 목줄은 돼야 안심하고 낚시를 즐길 수 있다.

2015. 3.
0Comments
-표시할 내용이 없습니다.-
코멘트를 삭제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nrcode refresh
총 게시물 41개 / 검색된 게시물: 41개
글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41 thumbnail 입문자를 위한 여름 갯바위 4대 어종 공략법3 돌돔 디낚편집부 2487 2015-07-30
40 thumbnail 입문자를 위한 여름 갯바위 4대 어종 공략법2 참돔 디낚편집부 2490 2015-07-30
39 thumbnail 입문자를 위한 여름 갯바위 4대 어종 공략법1 벵에돔•긴꼬리벵에돔 디낚편집부 2764 2015-07-30
38 thumbnail 벵에돔낚시 조과 향상 전략4 디낚편집부 2985 2015-07-02
37 thumbnail 벵에돔낚시 조과 향상 전략3 디낚편집부 2093 2015-07-02
36 thumbnail 벵에돔낚시 조과 향상 전략2 디낚편집부 2992 2015-07-02
35 thumbnail 벵에돔낚시 조과 향상 전략1 디낚편집부 1649 2015-07-02
34 thumbnail 겨울벵에돔을 찾아서7 제주도 디낚편집부 3089 2015-02-24
33 thumbnail 겨울벵에돔을 찾아서6 거제 지심도 디낚편집부 1818 2015-02-24
32 thumbnail 겨울벵에돔을 찾아서5 매물도 당금방파제 디낚편집부 2653 2015-02-24
31 thumbnail 겨울벵에돔을 찾아서4 지역 & 낚시터 특성 비교분석 디낚편집부 1816 2015-02-24
30 thumbnail 겨울벵에돔을 찾아서3 겨울 긴꼬리벵에돔낚시 A to Z 디낚편집부 3787 2015-02-24
29 thumbnail 겨울벵에돔을 찾아서2 동해안 전문가 기고 디낚편집부 2503 2015-02-24
28 thumbnail 겨울벵에돔을 찾아서1 남해동부 전문가 인터뷰 디낚편집부 2305 2015-02-24
27 thumbnail 주목받는 새 장르 '초원투' 디낚에서좋은데이 5674 2015-01-28
26 thumbnail 저수온기 감성돔낚시 해법은 채비에 있다! 3 디낚에서좋은데이 3325 2015-01-28
25 thumbnail 저수온기 감성돔낚시 해법은 채비에 있다! 2 디낚에서좋은데이 1861 2015-01-28
24 thumbnail 저수온기 감성돔낚시 해법은 채비에 있다! 1 디낚에서좋은데이 3676 2015-01-28
23 thumbnail 겨울감성돔낚시 승부수 찾기3 디낚편집부 3028 2015-01-23
22 thumbnail 겨울감성돔낚시 승부수 찾기2 디낚편집부 2109 2015-01-23
  • 상호 : (주)파스미디어 │ 대표 : 오계원 │ 사업자등록번호 : 605-81-93977 │ 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981, 시청센트빌 109호
  • 개인정보관리자 : 온라인사업부 │ TEL. 051-803-1729 │ FAX. 051-864-1733 │ E-mail. master@dinak.co.kr
쪽지를 전송하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쪽지보내기
받는이(ID/닉네임)
내용
쪽지가 도착하였습니다.
쪽지 내용을 읽어오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