벵에돔낚시 조과 향상 전략1
2015-07-02 11:15:49
0
1,646
벵에돔낚시 조과 향상 전략1
주요 변수와 현장 여건에 따른 대응법
수온, 물색, 조류, 잡어가 변수… 노는 수심 따라 대응해야
동남권 벵에돔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벵에돔은 가까운 낚시터에서 마릿수 채우는 재미가 일품이다. 하지만 5월말까지는 여건이 불안정한 탓에 조황이 들쭉날쭉하다. 시즌 초반에 조과를 결정짓는 중대 변수와 그에 따른 대응법을 모르면 실패할 확률이 높다.
남상출 편집장

시즌 초반에 해당하는 5월말까지는 벵에돔이 현장 여건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대응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벵에돔은 시즌 개막 이후 약 한 달 동안 여건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상층에서 앞 다투어 먹이를 받아먹다가도 어느 순간 바닥으로 가라앉아 은신처에 몸을 숨긴다. 전자의 경우에는 입질 받기가 그리 어렵지 않지만 후자일 때는 베테랑도 해법을 찾지 못해 고전하기 일쑤다. 시즌 초반 벵에돔 활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수온, 물색, 조류, 잡어 상황에 따라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수온 오를수록 조황 상승
수온은 벵에돔 시즌 초반에 특히 큰 영향을 미친다. 5월말까지는 수온이 적정 수준보다 낮고 움직임도 불안하기 때문에 변화에 신경을 써야 한다. 보통은 수온이 오를 때 조황도 덩달아 살아난다. 즉 전날보다 수온이 오른 날, 또는 하루 중 수온이 상승하는 시점에 벵에돔 활성도가 높아져 왕성하게 입질할 확률이 높다.
출조일 수온이 전날보다 높은 지 낮은지는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수온이 오른 날을 선택하기 보다는 수온이 떨어질 확률이 높은 날에 출조를 하지 않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예를 들면 비가 많이 내린 다음날이다. 출조일에 적당히 내리는 비는 벵에돔 활성도를 높이기도 하지만, 전날 많은 양의 비가 내리면 수온이 일시적으로 하락해 벵에돔 활성도가 떨어질 확률이 매우 높다.
하루 중 수온 변화도 따져볼 필요가 있다. 피크 시즌에는 보통 새벽부터 시작해 오전 물때가 더 유리하지만, 시즌 초반에는 수온이 오르는 오후~저녁에 조황이 살아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굳이 새벽물때를 고집할 필요가 없다.
물색 맑아야 활성도 UP!
벵에돔은 대체로 맑은 물색을 좋아한다. 먼바다를 비롯해 동해남부와 남해동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이유도 물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탁한 물색은 벵에돔 활성도를 떨어뜨린다. 특히 감성돔낚시에 어울릴 정도로 물색이 흐리면 경계심이 강해져 은신처를 잘 벗어나지 않고 입질도 상당히 약다. 이런 날은 좋은 조과를 기대하기 어려운데 낱마리라도 손맛을 보려면 바닥층을 집중 공략해야 한다.
물색이 너무 맑아도 조황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가까운 거리에서 입질을 받기 어렵고 평소보다 멀리 공략해야 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벵에돔은 시각이 뛰어나기 때문에 물색이 지나치게 맑으면 자연스레 경계심이 높아진다. 가끔 속이 훤히 들여다보일 정도로 물색이 맑은 날, 벵에돔이 미끼를 삼키는 걸 보면서 낚는 일도 있지만 드문 경우다. 그래도 다행인 건 물색이 흐릴 때처럼 바닥층으로 내려가지는 않는다. 만약 물색이 맑은 날, 벵에돔이 피어오르는 게 보이지 않는다면 과감하게 먼 곳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
조류 완만해야 입질 활발
벵에돔은 수직 이동폭이 크다. 바닥층에 머물다 먹이활동을 하기 위해 상층까지도 쉽게 떠오르지만, 수평으로 먼 거리를 이동하지는 않는다. 감성돔이나 참돔처럼 조류를 타고 움직이는 습성이 강하지 않다는 얘기다. 벵에돔이 조류가 빠른 곳을 싫어하는 이유도 이런 습성과 관련이 깊다.
반면 아예 조류가 흐르지 않는 것도 좋지 않다. 조류가 멈추면 본능적으로 경계심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상층으로 피어오른다고 해도 입질이 약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조류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는 공략지점을 평소보다 멀리 잡고 극소형 막대찌나 발포찌 같은 예민한 채비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벵에돔은 지류대 영향을 받아 조류가 완만하게 흐를 때 입질이 가장 활발하다. 이런 날은 경계심이 적고 활성도가 높기 때문에 연속으로 입질을 받아낼 확률이 높다. 이럴 때 속전속결하려면 입질 수심에 맞춘 고정찌채비를 사용해 볼만 하다.
잡어 성화 심할수록 벵에돔 활성도 높다
잡어는 벵에돔낚시에서 가장 큰 골칫거리다. 하지만 벵에돔의 활성도를 짐작할 수 있는 척도라는 점에서 꼭 나쁜 존재라고 얘기할 수도 없다. 잡어 활성도가 높으면 벵에돔 활성도가 높고, 반대로 잡어 활성도가 낮으면 벵에돔 활성도도 낮다. 베테랑들이 낚시를 시작하기 전에 밑밥을 뿌려 잡어 움직임부터 살피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밑밥을 뿌리자마자 잡어떼가 시커멓게 달려드는 날은 벵에돔 역시 밑밥에 반응해 상층으로 일찍 부상할 확률이 높다. 반면 평소보다 잡어떼가 적거나 눈에 잘 띄지 않을 정도로 중하층에 머물 때는 벵에돔도 쉽게 피어오르지 않는다. 따라서 잡어 움직임으로 벵에돔 활성도를 예측하고, 그에 맞게 채비를 운용해야 한다.
참고로 낚시 도중 잡어 무리가 갑자기 자취를 감추거나 멀리 퍼지지 않고 갯바위 주변에 몰려 있을 때는, 벵에돔이 무리지어 수면까지 피어올랐거나 상대적으로 덩치가 큰 개체들이 접근했을 가능성이 높다. 소나기 입질과 큰 손맛을 볼 수 있는 찬스이므로 집중해서 낚시해야 한다.

물색은 벵에돔 움직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다. 물색이 흐린 날은 경계심이 높아져 상층으로 떠오르지 않고 바닥층에 머물며 약은 입질을 보일 때가 많다.
2015. 6.
0Comments
-표시할 내용이 없습니다.-
코멘트를 삭제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총 게시물 41개 / 검색된 게시물: 41개
글번호 | 제목 | 작성자 | 조회수 | 작성일 | |
---|---|---|---|---|---|
41 | 입문자를 위한 여름 갯바위 4대 어종 공략법3 돌돔 | 디낚편집부 | 2485 | 2015-07-30 | |
40 | 입문자를 위한 여름 갯바위 4대 어종 공략법2 참돔 | 디낚편집부 | 2487 | 2015-07-30 | |
39 | 입문자를 위한 여름 갯바위 4대 어종 공략법1 벵에돔•긴꼬리벵에돔 | 디낚편집부 | 2759 | 2015-07-30 | |
38 | 벵에돔낚시 조과 향상 전략4 | 디낚편집부 | 2984 | 2015-07-02 | |
37 | 벵에돔낚시 조과 향상 전략3 | 디낚편집부 | 2092 | 2015-07-02 | |
36 | 벵에돔낚시 조과 향상 전략2 | 디낚편집부 | 2990 | 2015-07-02 | |
35 | 벵에돔낚시 조과 향상 전략1 | 디낚편집부 | 1646 | 2015-07-02 | |
34 | 겨울벵에돔을 찾아서7 제주도 | 디낚편집부 | 3088 | 2015-02-24 | |
33 | 겨울벵에돔을 찾아서6 거제 지심도 | 디낚편집부 | 1817 | 2015-02-24 | |
32 | 겨울벵에돔을 찾아서5 매물도 당금방파제 | 디낚편집부 | 2649 | 2015-02-24 | |
31 | 겨울벵에돔을 찾아서4 지역 & 낚시터 특성 비교분석 | 디낚편집부 | 1815 | 2015-02-24 | |
30 | 겨울벵에돔을 찾아서3 겨울 긴꼬리벵에돔낚시 A to Z | 디낚편집부 | 3785 | 2015-02-24 | |
29 | 겨울벵에돔을 찾아서2 동해안 전문가 기고 | 디낚편집부 | 2499 | 2015-02-24 | |
28 | 겨울벵에돔을 찾아서1 남해동부 전문가 인터뷰 | 디낚편집부 | 2304 | 2015-02-24 | |
27 | 주목받는 새 장르 '초원투' | 디낚에서좋은데이 | 5671 | 2015-01-28 | |
26 | 저수온기 감성돔낚시 해법은 채비에 있다! 3 | 디낚에서좋은데이 | 3322 | 2015-01-28 | |
25 | 저수온기 감성돔낚시 해법은 채비에 있다! 2 | 디낚에서좋은데이 | 1860 | 2015-01-28 | |
24 | 저수온기 감성돔낚시 해법은 채비에 있다! 1 | 디낚에서좋은데이 | 3676 | 2015-01-28 | |
23 | 겨울감성돔낚시 승부수 찾기3 | 디낚편집부 | 3027 | 2015-01-23 | |
22 | 겨울감성돔낚시 승부수 찾기2 | 디낚편집부 | 2108 | 201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