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거도 갯사리
2006-01-24 18:07:21
member photo 관리자
0 1,694
홈통을 끼고 있는 포인트로 조금 전후에는 좋은 조황을 기대하기 어렵다. 하지만 조류 소통이 월활해지는 사리 전후 물때에는 만만치 않은 조황을 보인다. 특히 마릿수 재미가 좋아 대물꾼들 보다는 실속파 꾼들에게 인기가 높다. 주변 수심은 8~9m 정도이고, 들·날물 모두 노릴 수 있다.
① 들물에 입질이 잦다. 채비를 북쪽을 보고 약 20m 정도 던져 홈통 안쪽으로 밀려드는 들물 조류에 태워야 한다. 낚시자리 왼쪽에서 오르쪽으로 흐르던 조류가, 홈통을 끼고 돌면서 천천히 멀어진다.
낚시자리 오른쪽에 규모가 제법 큰 수중여가 2~3개 잠겨 있는데, 수중여 사이의 곬에서 입질이 집중된다. 채비가 수중여 부근으로 접근했다 싶으면 뒷줄을 조작해 수중여 사이로 흘러들도록 하는 것이 조과를 높일 수 있는 열쇠다.
② 날물에 좋은 조황을 보이는 곳으로 대물급은 귀한 편이지만, 30~40㎝급 감성돔을 마릿수로 낚을 수 있다. 곶부리 모양의 갯바위 가장자리에서 홈통 안쪽으로 밀려 드는 날물 조류를 이용해 낚시해야 한다.
감성돔이 갯바위 벽면을 따라 입질하기 때문에 채비를 철저하게 발밑으로 붙여야 좋은 조과를 기대할 수 있다. 홈통 입구 가까운 지점에 채비를 던진 다음, 미끼를 가라앉히면서 갯바위 쪽으로 밑채비를 끌어주어야 한다.
뒷줄을 풀어주면 채비가 홈통 방향으로 흘러들면서 갯바위와 멀어지기 때문에 입질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목줄에 봉돌을 분납한 채비를 사용해 미끼가 최대한 벽면에 붙도록 만들어야 한다. 밑밥 역시 홈통 입구 갯바위 가까운 곳에 뿌려야 한다.
0Comments
-표시할 내용이 없습니다.-
코멘트를 삭제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nrcode refresh
총 게시물 902개 / 검색된 게시물: 902개
글번호 제목 조회수
822 송도 칼여·칼여 앞 간출여
관리자 06.01.25
1742
821 섭도 남쪽 홈통
관리자 06.01.25
1754
820 모항도 평바위
관리자 06.01.25
2068
819 접도 소나무밑
관리자 06.01.25
2141
818 추자군도 섬생이 남서쪽 곶부리
관리자 06.01.25
1642
817 추자군도 제주여 남동쪽 곶부리
관리자 06.01.25
2605
816 추자군도 하추자도 머준이
관리자 06.01.25
1875
815 추자군도 큰보름섬 보름여
관리자 06.01.25
1955
814 추자군도 쇠코·중간여 사이 물곬
관리자 06.01.25
1570
813 추자군도 박미역섬 신병훈련소
관리자 06.01.25
1951
812 동도 칼바위 옆
관리자 06.01.25
2089
811 서도 삼백냥 홈통
관리자 06.01.25
1664
810 동도 오지여 앞 홈통
관리자 06.01.25
2086
809 동도 미끄럼바위
관리자 06.01.25
1812
808 가거도 솥퉁이
관리자 06.01.24
2170
807 가거도 복여
관리자 06.01.24
1484
806 가거도 앞면 똥여
관리자 06.01.24
1547
805 가거도 작은 오동여
관리자 06.01.24
2048
804 가거도 신간여
관리자 06.01.24
1765
803 가거도 갯사리
관리자 06.01.24
1694
쪽지를 전송하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쪽지보내기
받는이(ID/닉네임)
내용
쪽지가 도착하였습니다.
쪽지 내용을 읽어오고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