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2215001079673192.gif |
방어진 대왕암 일대는 울산 최고의 감성돔 낚시터로 오랫동안 변치않는 사랑을 받아 온 곳이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겨울에 접어들어야 비로소 씨알 굵은 감성돔을 배출하며, 본격적인 감성돔 시즌에 들어간다. 겨울이 되면 잡어나 수온 같이 감성돔낚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최적 조건을 갖추면서 씨알은 물론이고 마릿수에 있어서도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다. 대왕암 일대에 본격적인 겨울 감성돔 시즌이 시작되었음을 알려주는 포인트가 전봇대바위다. 감성돔낚시를 즐기기에 이상적인 시기는 가을이다. 감성돔낚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가지 요소들이 기다렸다는 듯 최적의 조건을 갖추기 때문에 다른 때에 비해 훨씬 수월하게 감성돔 손맛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동해안에서는 가을 보다는 오히려 겨울에 더 좋은 조황을 보일 때가 많다. | |
동해안 가을 시즌은 감성돔 뿐만 아니라 벵에돔, 망상어, 자리돔, 독가시치 등 다양한 어종들이 한데 어우려져 낚이기 때문에 제대로된 감성돔낚시를 즐기기 어렵다. 특히 갯바위 주변 수심이 얕고, 조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포인트에서는 그 어느 때 보다 감성돔 구경하기 어려운 시기가 바로 가을이라 할 수 있다. 겨울에 접어들면 그동안 극성을 부리던 잡어들의 성화도 한풀 꺾이고 수온도 감성돔낚시에 최적인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겨울 시즌 동해안에서 가장 활발하게 감성돔낚시가 이뤄지는 곳이 울산이다. 울산 해안은 갯바위가 잘 발달 돼 있고, 크고 작은 여가 많아 감성돔낚시를 즐기기에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울산에서 겨울 감성돔낚시를 얘기할 때 절대 빠지지 않는 곳이 방어진 대왕암 일대 갯바위다. 대왕암 일대 갯바위는 우리나라에서 60㎝급 감성돔을 배출한 몇 안되는 포인트 중 하나로, 일년 내내 감성돔낚시가 가능하다. 이맘때 부터 영등철까지 대물급 출현이 잦은데, 파도가 적당히 치고 북풍이 알맞게 부는 날을 골라 진입하면 대물감성돔의 당찬 손맛을 경험할 수 있다. 대왕암 일대는 걸어 들어갈 수 있는 갯바위 포인트와 낚싯배를 이용해 진입하는 여 포인트가 전역에 걸쳐 고르게 자리잡고 있다. 마릿수면에서는 여 포인트들이 월등히 앞서는 편이지만, 씨알에서는 오히려 갯바위가 나은 편이다. 대왕암에서 일산해수욕장 방향으로 곶부리 하나를 돌아나가면 전봇대바위가 나온다. 낚시자리 뒤쪽에 전봇대가 서 있다고 해서 이같은 이름이 붙었다. 얼핏보면 육지와 붙어 있는 것 같지만 걸어서는 들어갈 수 없다. |
302729001079673192.gif |
① 낚시자리가 높게 솟아 있어 일명 ‘높은자리’로 불린다. 발판이 넓은 편은 아니지만 옆으로 제법 길게 뻗어 있어 3명 정도는 무리없이 낚싯대를 드리울 수 있다. 포인트가 북동쪽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북풍이나 동풍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퇴로가 없기 때문에 파도가 높거나 너울 파도가 있는 날에는 진입하지 않는 게 좋다. 전형적인 들물 포인트로 특히 조류 소통이 좋아지는 중들물 시간대에 입질이 집중된다. | |
낚시자리 정면에 넓게 수중여밭이 펼쳐져 있고 중간 중간 커다란 수중여들이 박혀 있는데, 이 수중여 뿌리 부근에서 입질이 잦다. 주변 다른 포인트에 비해 수심이 깊은 편으로 낚시자리 가까이는 7m 전후, 10m 이상 떨어지면 12m 정도로 깊어진다. 겨울 시즌에 유난히 조황이 좋은 이유도 수심이 깊기 때문이다. 발밑에서 부터 30m 이상 떨어진 곳까지 폭넓은 지역에서 입질이 들어온다. 채비를 하기 전에 미리 밑밥을 뿌려 놓는 게 좋다. 새벽 시간대에는 낚시자리 가까운 곳을 노리고 해가 뜨고 잡어가 나타나면 먼거리를 공략하는 게 효과적이다. 갯바위 가까운 곳을 노릴 때는 0.5~0.8호 구멍찌에 찌밑수심을 8m에 맞춘다. 먼곳을 노릴 때는 1~1.2호 구멍찌를 많이 사용하며, 찌밑수심은 12m 정도가 적당하다. 이맘때 이곳에서 낚이는 감성돔들은 대부분 40㎝가 넘을 만큼 씨알이 굵기 때문에 목줄은 1.5호 이상 사용해야 하며 원줄은 2.5호면 충분하다. 수심이 깊고, 조류 소통이 좋기 때문에 밑밥은 되도록 비중이 높은 집어제를 섞어 최대한 빨리 가라앉게 만들어야 한다. 갯바위 가까운 곳을 노릴 때는 발밑에 흩어 뿌리는 게 좋고, 먼거리를 공략할 때는 단단하게 다져 조류 상류에 던져야 한다. ② 낚시자리가 다소 좁은 편이지만 평평하기 때문에 2명 정도는 편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다. 낚시자리가 높은 ①과는 달리 수면과 높이차가 얼마되지 않기 때문에 파도가 조금만 쳐도 발밑까지 밀려들어 온다. 각별히 안전에 신경을 기울여야 한다. 이곳 역시 전형적인 들물 포인트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조류가 움직이는 들물 시간대에는 낚시자리 왼쪽 작은 홈통 주변에 포말이 생긴다. 이곳을 노리면 입질 받을 확률이 높다. 파도 세기나 조류 속도에 따라 포말의 양이 달라지는데, 거품이 많고 넓은 범위에 걸쳐 포말이 형성돼 있을 때 입질이 잦다. 포말지역을 공략할 때는 평상시 보다 조금 크기가 큰 구멍찌를 사용하는 게 좋다. 너무 작은 구멍찌를 사용하면 포말 속에 구멍찌가 숨어 버리기 때문에 챔질 타이밍을 놓치기 쉽다. 물론 부피가 큰 구멍찌를 사용할 때는 잔존부력을 완전히 없애 최대한 예민하게 채비를 만들어야 한다. 낚시자리 정면 10~15m 거리에 크고 작은 수중여 3~4개가 박혀 있다. 이 수중여 주변은 수심이 7~9m 정도다. 주로 0.8~1호 구멍찌를 사용한다. 낚시자리에서 10시 방향 20m 거리에 채비를 던진 다음 들물 조류에 태워 흘리다가, 구멍찌가 낚시자리 정면에 도달하면 여유줄을 감아 들이면서 뒷줄을 잡아 주면 입질을 받을 수 있다. 밑밥은 다소 찰지게 반죽한 다음 조류 상류쪽에 던진다. 처음에는 조금 많은 양을 뿌리다가 첫 입질을 받고 난 후에는 양을 줄여 규칙적으로 조금씩 뿌리는 게 좋다. |
글번호 | 제목 | 조회수 | |
---|---|---|---|
62 |
제주 소관탈도 동쪽계단 옆 홈통
관리자
04.03.22
|
1454 | |
61 |
경남 거제시 다포 형제섬
관리자
04.03.19
|
1648 | |
60 |
경남 거제시 해금강 쇠바위 큰홈통
관리자
04.03.19
|
1478 | |
59 |
전남 금오도 큰막개
관리자
04.03.19
|
2060 | |
58 |
하태도 촛대바위 옆
관리자
04.03.19
|
1663 | |
57 |
고군산군도 야미도 집중분석
관리자
04.03.19
|
1990 | |
56 |
십이동파도 덜컥여·남여
관리자
04.03.19
|
2178 | |
55 |
군산권 어청도 불탄여
관리자
04.03.19
|
2319 | |
54 |
충남 보령권 외연열도 초망여 / 내·외횡견도 물곬
관리자
04.03.19
|
1484 | |
53 |
전북 고군산군도 무녀도 남동쪽 백사장 일대
관리자
04.03.19
|
1560 | |
52 |
충남 보령권 무창포 일대
관리자
04.03.19
|
1853 | |
51 |
전북 격포 낙철여·긴여
관리자
04.03.19
|
1728 | |
50 |
충남 보령시 무창포 석대도·직언도·황죽도
관리자
04.03.19
|
1685 | |
49 |
충남 태안권 두에기
관리자
04.03.19
|
1817 | |
48 |
전북 군산 고군산군도 관리도
관리자
04.03.19
|
1775 | |
47 |
울산권 숨겨진 감성돔 포인트
관리자
04.03.19
|
1556 | |
46 |
울산권 겨울 감성돔 포인트-비학큰여
관리자
04.03.19
|
2010 | |
45 |
울산권 대왕암 전봇대바위
관리자
04.03.19
|
1695 | |
44 |
서생 간절곶방파제 옆 갯바위
관리자
04.03.19
|
1628 | |
43 |
충남 서천군 홍원리 동부섬
관리자
04.03.19
|
1358 |
대표: 오계원, 상호명: (주)파스미디어
사업자등록번호: 605-81-93977
주소: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981, 시청센트빌 10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