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가 금지된 포인트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금오도 초포만 거북등
2005-04-20 17:12:52
0
2,141
초포만은 두포만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굴등과 야외음악당 사이의 만을 일컫는다. 초포만 입구에 ‘거북등’이라고 불리는 포인트가 있다. 갯바위 모양이 마치 거북의 등처럼 생겼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 하지만 주변에 굴등, 염소통 등 유명 포인트들이 많아 크게 인기를 얻지는 못한 곳이다. 발판이 좁지는 않지만 경사가 져서 오랫동안 서서 낚시를 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하지만 바로 뒤에 넓은 공간이 있어 야영낚시도 가능하다. 봄에는 낚시자리 주변에 넓게 몰밭이 형성된다. 몰밭 안쪽에서도 입질을 받을 수 있지만, 밑걸림이 심하고 조류 소통이 좋지 못해 공략하기가 까다롭다. 주공략 지점은 몰밭이 끝나는 가장자리 주변이다. 수심은 6m 전후. 낚시자리에서 20m 이상 채비를 던진 다음 몰이 자라 있는 가장자리까지 끌고 와야 한다. 몰이 있는 부근에서 입질이 없을 때는 본류대를 공략하는 게 좋다. 중들물 이후 부터 만조 시간까지 본류대를 공략하는데, 금오도 다른 포인트에 비해 갯바위 가까운 거리에서 본류대가 흐르고 있다. 채비를 마을 방향으로 멀리 던진 다음 본류대에 태워 낚시자리 왼쪽에 있는 곶부리 근처까지 흘려줘야 한다. 조류가 빠르기 때문에 찌밑수심을 넉넉히 주고 낚시하는 게 좋다. 채비를 흘릴 때는 원줄을 무작정 풀어주지 말고 팽팽해질 때까지 기다린 다음, 조금씩 풀어 주는 게 좋다. 중간중간 낚싯대를 들어 미끼에 움직임을 주는 것도 입질을 유도하는 좋은 방법이 된다. 씨알은 30㎝급 부터 50㎝급까지 다양하게 낚인다. 매년 어김없이 떼고기 소식을 전하는 곳이므로, 그 어느 곳 보다 마릿수 조과를 올릴 가능성이 높다. |
0Comments
-표시할 내용이 없습니다.-
코멘트를 삭제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총 게시물 902개 / 검색된 게시물: 902개
글번호 | 제목 | 작성자 | 조회수 | 작성일 | |
---|---|---|---|---|---|
642 | 가덕도 병산열도 대죽도 111번 포인트 | 관리자 | 2718 | 2005-05-02 | |
641 | 양지암 대패바위·고구마바위 | 관리자 | 3045 | 2005-05-02 | |
640 | 대병대도 매섬 홈통, 첫여, 둘째여 | 관리자 | 2168 | 2005-05-02 | |
639 | 관리자 | 1568 | 2005-04-28 | ||
638 | 사이섬 문어단지 | 관리자 | 1759 | 2005-04-28 | |
637 | 사량도 기지밑 | 관리자 | 1990 | 2005-04-28 | |
636 | 창선도 장곶이 암굴, 창선도 초소밑 | 관리자 | 2180 | 2005-04-27 | |
635 | 사후도 삼단여·납대기·남서쪽 곶부리 | 관리자 | 1765 | 2005-04-20 | |
634 | 안도 바깥 삼여 | 관리자 | 1960 | 2005-04-20 | |
633 | 안도 동고지 등대 돌아선 자리 | 관리자 | 2973 | 2005-04-20 | |
632 | 금오도 신선대 안통 | 관리자 | 2648 | 2005-04-20 | |
631 | 덕우도 큰 납대기 | 관리자 | 2273 | 2005-04-20 | |
630 | 금오도 초포만 거북등 | 관리자 | 2141 | 2005-04-20 | |
629 | 화원면 양화리 등대밑 | 관리자 | 2246 | 2005-04-20 | |
628 | 부도 동쪽 돌무너진곳 | 관리자 | 1765 | 2005-04-20 | |
627 | 부도 남쪽 직벽 | 관리자 | 1811 | 2005-04-20 | |
626 | 연도 목끝여 | 관리자 | 2158 | 2005-04-20 | |
625 | 청산도 청계리 배바위 | 관리자 | 1801 | 2005-04-20 | |
624 | 청산도 시커리 옆 작은홈톰 | 관리자 | 2440 | 2005-04-20 | |
623 | 장도 동끝 옆 돌출자리·선착장 옆 | 관리자 | 1901 | 2005-04-20 |